일본어 히라가나 문자 우 (う) 외우기

발음

u

1. 그림으로 외우기

히라가나 우 u う 외우기
'우'산과 비슷한 모습. 우산의 '우'.

한자 유래

한자
(집/우)
초서체
가나

유래 설명

한자 宇가 히라가나 う가 된 과정


  1. 만요가나(万葉仮名)로서의 宇
    고대 일본에서 음절문자가 정립되기 전, 한자를 음(소리)만 빌려 쓰던 만요가나에서
    ‘う’ 발음을 표기할 때 宇, 羽, 遇, 烏 등을 사용했으며,
    그중 宇가 자주 쓰였습니다.

  2. 원래 구성: 宀 + 于
    ‘宇’는 지붕을 뜻하는 宀 부수와 어조사 ‘우’를 나타내는 于 부호로 이루어졌습니다.

  3. 초서체에서의 宀 부위 간략화
    붓글씨로 빠르게 쓰면서 지붕 모양의 宀이 하나의 부드러운 곡선 획으로 바뀌어 단순화되었습니다.

  4. 초서체에서의 于 부위 간략화
    ‘于’는 상하로 분리된 획이 붓이 이어지는 흐름 속에서 하나의 곡선 형태로 통합되어 간결해졌습니다.

  5. 여자 손글씨(女手)로의 정착
    간략화된 초서체 형태는 주로 여성들이 쓰던 ‘여자 손글씨(女手)’로 전승되며
    고정된 음절문자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렇게 宇의 흐림체 축약형이
    ‘う’의 원형이 되었습니다.

  6. 정형화 및 표준화
    헤이안 시대부터 교토 귀족 사회에서 히라가나 서체가 표준화되었고,
    메이지 시대 인쇄활자용으로 획 수와 곡선 모양이 정리되어
    오늘날의 う 형태가 완성되었습니다.

같은 발음의 가타카나로 이동하기


이전/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