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히라가나 문자 소 (そ) 외우기

발음

so
zo

1. 그림으로 외우기

히라가나 소 so そ 외우기
'소'라 앞부분과 비슷한 모습.

2. 그림으로 외우기

히라가나 소 so そ 외우기
'소' 얼굴 모양.

3. 그림으로 외우기

히라가나 소 so そ 외우기
(뒤집은)S, O를 합쳐셔 '소'(SO).

한자 유래

한자
(일찍/증)
초서체
가나

유래 설명

한자 曾가 히라가나 そ가 된 과정


  1. 한자 원형
  2. 曾 (증)
  3. 의미: 일찍이, 이전에, 조상 등
  4. 발음: 중국어 음 'zēng'에서 유래 → 일본 한자음 '소(そう, sou)'

  5. 초서체에서의 변화
  6. 曾의 초서체 표기가 간략해지면서 필기체에서 빠르게 쓰기 위한 간략화가 이루어짐.
  7. 八(여덟 팔) + ⺌(작을 소) + 口(입 구) + 曰(가로 왈)
  8. 曾(증)의 윗부분은 八(여덟 팔)
  9. 중간 부분의 구조('⺌' '口')가 간소화됨.
  10. 초서체의 曾은 이미 윗부분 '八'자와 가운데 '⺌', '口'자가 연결되어 둥글고 부드러운 곡선 형태를 띠게 됨.
  11. 아랫부분은 曰(가로 왈) 둥근 곡선으로 표현됨.

  12. 히라가나 초창기의 모양 변화
  13. 초서체 曾에서 핵심적인 곡선만 남기고 복잡한 획이 더욱 생략됨.
  14. 윗부분의 八 형태가 부드러운 곡선 하나로 변형되면서 점차 'そ'의 윗부분 곡선 형태로 변화됨.
  15. 중간의 '⺌', '口' 형태 또한 빠르게 필기하는 과정에서 생략되고, 이를 대신하는 직선 형태로 단순화됨.

  16. 최종 정착 과정
  17. 초서체 曾의 위쪽 곡선과 아래의 둥근 연결 곡선만 남으면서 지금의 히라가나 'そ'의 형태로 굳어짐.
  18. 曾(そ)의 발음은 일본어 한자음의 초성 소리만 남은 형태로 '소(そ)'로 정착됨.

같은 발음의 가타카나로 이동하기


이전/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