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히라가나 문자 하 (は) 외우기

발음

ha
ba
pa

1. 그림으로 외우기

히라가나 하 ha は 외우기
大 일반적인 사람의 모습에서, 하체 비만이라 걷거나 서지 못해서 앉아 있고, 지팡이가 필요한 모습. 하체비만의 '하'.

한자 유래

한자
(물결/파)
초서체
가나

유래 설명

한자 波가 히라가나 は가 된 과정


  1. 8세기 만요가나(万葉仮名) - 波 를 pa / ha 음표기로 사용
  2. 한자 뜻을 버리고 소리만 빌려 쓰는 만요가나 체계가 정착했으며, ha 계열 대표 글자 가운데 하나가 波였다.

  3. 9-10세기 남자글씨(男手) → 초서(草書) - 총 8획 → 3획 으로 대폭 간략화
  4. 물 수변(氵) 세 점은 부드러운 곡선 1획으로, 皮 부분은 짧은 가로 + 큰 고리 두 획으로 흘려 쓰며 오늘날 ‘は’의 뼈대가 형성된다.

  5. 10-12세기 여자글씨(女手) - 궁중 여성 필체가 평가나(平仮名) 원형으로 고정
  6. 우아한 온나데가 표준화되면서, 波 초서형이 현재 3획짜리 ‘は’ 모습으로 굳어진다.

  7. 1900 메이지 정부 고시 - 46 자 히라가나 확정
  8. 1음 1자 원칙으로 波 계열 → 공인 ‘は’ 가 48(후에 46)자 표준 히라가나를 공포. 波 에서 나온 글자가 나행의 ‘は’ 대표자로 채택되고, 다른 파생형은 変体仮名로 분류됐다.

같은 발음의 가타카나로 이동하기


이전/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