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히라가나 문자 히 (ひ) 외우기

발음

hi
bi
pi

1. 그림으로 외우기

히라가나 히 hi ひ 외우기
'히히히' 웃는 입 모양의 '히'.

한자 유래

한자
(견주다/비)
초서체
가나

유래 설명

한자 比가 히라가나 ひ가 된 과정


  1. 8세기 만요가나(万葉仮名) - 比 를 pi / hi 음가로 차용
  2. 일본어를 적기 위해 한자 소리만 빌려 쓰던 만요가나 체계에서 比 가 ひ 음(당시에는 /pi/)을 대표했다.

  3. 9-10세기 남자글씨(男手) → 초서(草書) - 총 4획 → 2획 으로 축약
  4. 比의 첫 짧은 가로획이 왼쪽으로 살짝 기운 짧은 획(1획)으로, 나머지 두 세로획은 아래로 내려갔다가 안쪽으로 감아 올라오는 큰 곡선(2획)으로 합쳐졌다.
  5. 10-12세기 여자글씨(女手) - 궁중 여성 필체가 평가나(平仮名) 원형으로 고정
  6. 궁중 여성들이 쓰던 ‘온나데’가 표준화되면서, 比 초서형이 현재 2획짜리 ‘ひ’ 모습으로 굳어진다.

  7. 1900 메이지 정부 고시 - 46 자 히라가나 확정
  8. 1음 1자 원칙으로 比 계열 → 공인 ‘ひ’ 가 48(후에 46)자 표준 히라가나를 공포. 比 에서 나온 글자가 나행의 ‘ひ’ 대표자로 채택되고, 다른 파생형은 変体仮名로 분류됐다.

같은 발음의 가타카나로 이동하기


이전/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