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히라가나 문자 누 (ぬ) 외우기

발음

nu

1. 그림으로 외우기

히라가나 누 nu ぬ 외우기
'누'에와 비슷한 모습. 는 꼬리가 있으므로 누에, 는 꼬리가 없으므로 메기. 누에의 '누'.

한자 유래

한자
(종/노)
초서체
가나

유래 설명

한자 奴가 히라가나 ぬ가 된 과정


  1. 8세기 만요가나(万葉仮名) - 奴 를 nu 음값으로 차용
  2. 일본어 음절을 표기하기 위해 한자 소리만 빌려 쓰던 만요가나(万葉仮名) 체계에서 nu 계열 글자 가운데 하나가 奴였다. 의미(‘종, 하인’)는 버리고 순수 음표기로만 사용.

  3. 9-10세기 남자글씨(男手) → 초서(草書) - 속필을 위해 8획 → 2-3획 으로 대폭 단순화
  4. 奴 는 ‘여자 女’ + ‘또 又’ 로 이루어져 있다. 붓을 빠르게 움직이며 女의 세로획과 又의 곡선을 한 번에 이어 쓰면서, 좌우 분리 구조가 왼쪽 사선 + 큰 고리 형태로 재편된다.

  5. 10-12세기 여자글씨(女手) 유려한 필체가 평가나(平仮名)의 원형으로 고정
  6. 궁정 여성들이 쓰던 온나데가 표준화되며, 奴 초서형이 오늘날 ぬ 와 거의 동일한 두 획(짧은 사선 + 긴 고리)으로 굳는다.

  7. 1900 메이지 정부 고시 - 46 자 히라가나 확정
  8. 1음 1자 원칙으로 奴 계열 → 공인 ‘ぬ' 가 48(후에 46)자 표준 히라가나를 공포. 奴 에서 나온 글자가 나행의 ‘ぬ’ 대표자로 채택되고, 다른 파생형은 変体仮名로 분류됐다.

같은 발음의 가타카나로 이동하기


이전/다음